- 벡터(Vector)
: 벡터란 같은 데이터 타입의 나열을 말한다. 벡터 안의 값들을 요소(Components 또는 members)라 한다.
R에서 벡터는 c() 함수를 이용해 정의한다.
1. 벡터 결합하기 (Combining Vectors)
: 여러개의 벡터를 하나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.
-> 여기서 벡터는 반드시 문자열이어야 한다는 규칙때문에 (2,3,5)가 문자열로 변환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2. 벡터 연산하기 (Vector Arithmetics)
벡터와 상수의 산술 연산시 각 각의 components들에 해당 연산을 수행한다.
벡터와 벡터의 산술 연산 시 같은 자리의 components들 끼리 연산을 수행한다.
**Recycling Rule(재활용 규칙)
: 길이가 다른 두개의 벡터 연산 시 짧은 벡터는 긴 벡터와 다시 연산하기 위해 재활용된다.
3. 벡터 인덱스 (Vector Index)
: R의 벡터는 0부터가 아닌 1부터 시작한다.
**Neagative Index (부정 인덱스)
: 인덱스가 음수라면 해당 인덱스를 제외한 나머지를 출력하게 된다.
**Out-of-Range Index
: 인덱스의 범위가 벗어나면 NA값(NULL을 의미한다.)을 출력한다.
4. 10진수 타입 인덱스 벡터 (Numeric Index Vector)
: Numeric타입 벡터를 인덱스로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요소만 뽑아내는 슬라이싱(Slicing)이 가능하다.
**Duplicate Indexes (중복 인덱스)
: Numeric Index Vector 사용시 중복된 인덱스로 같은 컴포넌트를 중복해서 뽑는 것이 가능하다.
**Range Index (범위 인덱스)
: ":"를 사용하여 원하는 범위의 슬라이싱이가능하다.
5. 논리적 인덱스 벡터 (Logical Index Vector)
: Logical타입 벡터를 인덱스로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요소만 뽑아내는 슬라이싱이 가능하다.
6. 이름있는 벡터 멤버들 (Named Vector Members)
: 벡터 멤버들에게 이름을 할당해주는 것이 가능하다. (마치 딕셔너리 같은 역할이 가능하다)
할당하고 나면 이름을 통해 값에 접근가능하다.
-References : http://www.r-tutor.com/r-introduction/vector
'언어 > 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 기초] 리스트 (List) (0) | 2020.05.29 |
---|---|
[R 기초] 행렬 (Matrix) (0) | 2020.05.29 |
[R 기초] 기본 데이터 타입 (Basic Data Types) (0) | 2020.05.29 |